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방법 및 변경사항 총정리
청년 고용을 촉진하고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'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'이 2025년에도 시행됩니다. 2024년에 비해 일부 지원 내용이 변경되었으므로, 신청을 고려하는 기업과 청년은 아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✅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?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일정 기간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에 정부가 인건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를 통해 청년에게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, 기업에는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
✅ 지원 유형 및 금액
2025년에는 지원 유형이 두 가지로 나뉩니다.
1. 유형Ⅰ: 취업애로청년 채용 기업 지원
- 지원 대상 기업: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
- 지원 대상 청년: 취업애로청년
- 지원 금액: 1인당 월 60만 원, 최대 720만 원 (1년간)
- 지원 요건:
-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
- 기존 근로자 임금 삭감 없이 신규 채용 진행
2. 유형Ⅱ: 빈일자리 업종 채용 기업 및 청년 지원
- 지원 대상 기업: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중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
- 지원 대상 청년: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 (취업애로 여부 무관)
- 기업 지원 금액: 1인당 월 60만 원, 최대 720만 원 (1년간)
- 청년 인센티브:
- 18개월 근속 시 240만 원
- 24개월 근속 시 추가 240만 원
- 총 최대 480만 원
- 지원 요건:
-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
- 기존 근로자 임금 삭감 없이 신규 채용 진행
✅ 지원 대상 요건
기업 요건
- 공통 요건:
-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
- 고용보험에 가입된 사업장
- 기존 근로자 임금 삭감 없이 신규 채용 진행
- 유형Ⅱ 추가 요건:
-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
청년 요건
- 공통 요건:
-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(군 복무 기간 제외 시 최대 만 39세까지 인정)
-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거나 12개월 이하
- 정규직 채용 및 4대 보험 가입 필수
- 최저임금 이상 급여 지급 및 주 30시간 이상 근무
- 유형Ⅰ 추가 요건 (취업애로청년):
- 4개월 이상 실업 상태
- 고졸 이하 학력 (대졸 예정자 제외)
- 국민취업지원제도·일학습병행 사업 참여자
- 청년도전지원사업·자립준비청년·북한이탈청년 등
- 최종 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가입 기간 12개월 미만
✅ 신청 방법 및 절차
기업 신청 절차
- 고용 24 누리집 접속
- 사업 참여 신청: 기업회원 가입 후 사업 참여 신청
- 청년 채용: 사업 참여 승인 후 청년 정규직 채용
- 고용 유지: 청년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
- 지원금 신청: 고용 유지 기간 종료 후 2개월 이내 지원금 신청
청년 인센티브 신청 절차 (유형Ⅱ)
- 18개월 근속 후: 다음 달부터 2개월 이내 1회 차 인센티브 신청 (240만 원)
- 24개월 근속 후: 다음 달부터 2개월 이내 2회 차 인센티브 신청 (추가 240만 원)
이때, 기업은 도약장려금 1회 차 지원금을 이미 받았어야 합니다.
✅ 2024년 대비 2025년 변경사항
- 유형Ⅰ 지원 기간 단축: 기존 2년간 지원에서 1년간 지원으로 변경
- 청년 인센티브 도입: 유형Ⅱ에 한해 청년 장기근속 시 인센티브 최대 480만 원 지급
- 신청 기한 엄수: 고용 유지 기간 종료 후 2개월 이내 지원금 신청 필수
✅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활용 팁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더 잘 활용하려면 아래 세 가지 팁을 꼭 기억하자.
- 채용 공고 확인하기 : 채용 공고를 볼 때, ‘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대상 기업’이라는 문구가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자. 이 문구가 있다면 해당 기업이 장려금 참여기업일 가능성이 높다.
- 기업과 사전 협의하기 : 장려금은 기업이 먼저 사업에 참여 신청을 해야 받을 수 있기 때문에, 입사 전에 기업이 이 제도에 참여하고 있는지, 또는 신청할 의사가 있는지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. 괜히 근무 시작했다가 “우린 안 한다”는 말 들으면 낭패다.
- 장기근속을 고려하기 : 기업은 최소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해야 장려금을 받을 수 있고, 특히 유형Ⅱ는 청년이 장기근속할수록 인센티브도 많아진다. 단순히 단기 일자리보다는 ‘오래 다닐 수 있는 곳인지’도 함께 고려해서 취업 결정을 내리는 게 중요하다.
✅ 유의사항
- 중복 지원 불가: 중앙부처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동일 청년에 대한 인건비 지원을 받는 경우 중복 지원 불가
- 신청 기한 준수: 각 지원금 신청은 정해진 기간 내에 완료해야 하며, 기한을 넘길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
- 부정 수급 시 제재: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지원금을 수급할 경우 지급 중지 및 환수 조치
✅ 마무리
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특히, 유형Ⅱ의 경우 청년에게도 장기근속 인센티브가 제공되므로,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는 청년에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. 기업과 청년 모두 해당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고, 정해진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.
'국가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] 신청 조건부터 방법까지 완벽 정리 (0) | 2025.04.25 |
---|---|
구직촉진수당 & 취업성공수당 비교: 내가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? (0) | 2025.04.14 |
취업 준비 중이라면? 국민취업지원제도 지원 대상, 지원금,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 (0) | 2025.04.13 |
대학생, 사회초년생 필독! 청년 임대주택 신청 가이드 (1) | 2025.04.12 |
기존 청약통장과 중복 가입 가능할까?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전 체크리스트 (1) | 2025.04.05 |